반응형

대한항공

 

6기 (1976년 6월 ~ 1977년 12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6기

 대한항공이 국내 최초로 국산 헬기 조립 생산을 시작했던 시기의 유니폼.
100% 나일론 재질의 감색 재킷과 동일한 색상의 스커트, 모자를 착용해 깔끔하고 단정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디자인으로, 통일된 색상이 줄 수 있는 단조로움을 줄이기 위해 레이온 소재의 흰 블라우스에 대한항공 로고가 들어간 스카프로 포인트를 주었다.
승무원들의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반소매 블라우스와 무릎길이의 맞주름 스커트로 편안함을 강조했고, 전체적으로 H형 실루엣을 보여주도록 디자인됐다.
잠시 사라졌던 모자가 다시 등장했지만, 이 유니폼이 모자를 착용한 마지막 유니폼이 됐다.

 

7기 (1978년 1월 ~ 1980년 3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7기

서울~바레인~제다, 서울~쿠웨이트, 서울~아부다비 노선 취항 등 중동 시장 노선 개척과 확장이 본격화되고, 서울~뉴욕 여객 노선이 취항한 시기의 유니폼이다.

디자이너 송옥 씨가 다시 디자인을 맡은 이 유니폼은 감색 재킷과 스커트로 다소 보수적인 스타일을 유지했으나 빨간색과 감색의 물결무늬 블라우스를 착용해 ‘대한항공 유니폼에 획기적인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8기 (1980년 4월 ~ 1986년 3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8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항공사로서 이제는 대한항공의 상징이 된 태극 응용 문양의 로고가 탄생한 시기로, 유니폼에도 태극의 컬러를 적용해 빨강과 파랑 그리고 흰색이 주요색으로 자리 잡았다.
점퍼스커트에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흰색 블라우스를 받쳐 입었는데, 여기에 대한항공 영문으로 만든 무늬를 프린트한 흰색·빨강색·감색이 조화된 스카프를 착용했다.
특히 재킷 왼쪽 가슴에는 앙증맞은 붉은색 행커치프 장식을 넣어 시선을 집중시키며 깨끗하고 신선하다는 반응을 이끌어냈다. 대한항공 승무원 유니폼으로는 처음으로 장수를 누려, 약 6년간 착용됐다.

 

9기 (1986년 4월 ~ 1990년 12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9기

86 아시안게임, 88 서울올림픽과 여행 자유화 등 ‘세계화’가 화두던 시대에 대한민국의 아름다움을 전 세계인에게 알리는 전령사 역할을 한 유니폼이다.
대한항공 유니폼 최초로 외국인인 미국의 조이스 딕슨이 디자인했는데, 1990년 3월 31일 모스크바 여객 노선 첫 취항과 더불어 ‘철의 장막’을 넘은 유니폼이기도 하다.
개버딘 소재에 연미복 스타일의 빨간색 재킷으로 여성적인 이미지를 고취하면서도 7부 소매와 지퍼가 있는 원피스로 승무원들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단청무늬를 응용한 벨트로 한국의 전통을 유니폼에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가 돋보인다는 평을 얻기도 했다.

 

 

출처 : 대한항공 뉴스룸

반응형
반응형

대한항공

 

 

1기 (1969년 3월~1970년 2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1기

민영 대한항공의 출범과 함께 선보인 유니폼은 착용 기간이 역대 유니폼 중 가장 짧았지만 사회적으로 큰 유행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양장의 대가로 불린 ‘송옥양장실’의 디자이너 송옥 씨의 작품으로, 100% 나일론 소재에 당시로서는 파격적으로 다홍색을 사용했다.
베이지색 블라우스에는 감색과 다홍색 선을 목선과 왼쪽 가슴에 넣어 포인트를 주었으며, 당시 유행했던 노칼라를 접목했다. 이후 이를 모방한 유니폼들이 탄생되는 등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한편 대한항공이 처음으로 도입한 제트기인 B720 항공기에 첫 번째로 오른 영예를 누린 유니폼이기도 하다.

 

2기 (1970년 3월 ~ 1971년 6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2기

대한항공 유니폼 역사상 가장 짧은 길이로 디자인된 유니폼으로, 당시 가수 윤복희 씨에게서 비롯된 미니스커트 열풍이 반영됐다.
 밝은 감색 모직 소재를 사용한 원피스 형태의 미니스커트에 같은 색상의 모자로 통일감을 주었고, 상의와 같은 디자인의 재킷을 덧입을 수 있도록 실용적으로 디자인했다.
 길이가 짧아 불편했을 거라는 생각은 오산. 치마 길이는 짧았지만 양쪽 등 부분에 요크를 넣어 활동성을 강조해 기내에서 일하기 편한 디자인으로 승무원들에게 인기 높았던 유니폼이다.
전체적으로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한 이 유니폼에는 단정함을 주는 흰색 장갑도 착용했다.

 

3기 (1971년 7월 ~ 1972년 12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3기

1972년 국내 최초의 정기 미주 여객 노선이 취항했던 시기의 유니폼으로, 첫 유니폼을 디자인한 디자이너 송옥 씨의 작품이다.
진한 감색에 3개의 금단추로 장식한 재킷과 같은 색의 주름 없는 A라인 스커트, 모자를 착용했다. 흰색 블라우스는 하이 네크라인과 라운드 네크라인의 두 종류였다.
1972년 4월 19일 대한항공 항공기와 함께 처음으로 미국 땅을 밟은 이 유니폼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태극기를 흔들며 맞이한 수천 명의 L.A. 동포들이 눈물을 쏟게 만든 주인공이기도 하다.
이역만리 떨어진 모국의 상징으로 “당장 대한항공을 타고 고향으로 가고 싶다”는 동경을 불러일으켰다.

 

4기 (1973년 1월 ~ 1974년 4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4기

 서울~파리 노선이 개설돼 유럽에 진출했던 시기의 유니폼으로 산뜻함과 화사함을 부각시켜 멋스러움을 강조했다.
색상은 두 종류로 하늘색과 연노랑색 미니 원피스에 같은 색상의 재킷, 모자를 착용했다. 곡선을 살린 모자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으며 전체적으로 여성적이면서도 단정하게 보이도록 디자인됐다.
 특히 처음으로 스카프를 도입해 포인트를 주었는데, 이후 스카프는 승무원의 필수 패션 아이템으로 꾸준히 활용되었다.
당시는 ‘점보’라는 애칭을 지닌 보잉사의 B747 기종이 대한민국 하늘에 첫선을 보인 시기로, 점보를 타고 태평양을 횡단한 첫 유니폼이다.

 

5기 (1974년 5월 ~ 1976년 5월)

역대 승무원 유니폼 5기

 1975년 3월 14일, 대한항공이 서울~파리 여객 노선을 개설함으로써 사상 최초로 대한민국 국민들이 자국의 날개를 타고 유럽으로 갈 수 있었던 시기의 유니폼이다.
 군청색 모직 재킷에 맞주름이 하나 들어간 같은 색상의 스커트를 입었다. 당시 대한항공 로고에 사용되던 붉은색 고니 무늬가 있는 흰색 블라우스를 착용했는데, 여기에 흰색·빨강색·연두색·감색의 혼합 무늬로 된 스카프를 더해 자칫 단순해 보일 수 있는 디자인을 보완했다.

 

 

출처 : 대한항공 뉴스룸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공유공간 입니다.

 

텔레뱅킹 or 모바일뱅킹 이용 시

자주 사용하는 은행이면 괜찮은데

가끔 잘 사용하지 않는

은행코드번호를 몰라서

당황할 때가 생기더군요.

 

 

그래서,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금융결제원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2020.8.13)

 

대표코드 (총 125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001 한국은행                    088 신한은행

002 산업은행                    089 케이뱅크

003 기업은행                    090 카카오뱅크

004 KB국민은행                 092 토스혁신준비법인

007 수협은행                    101 한국신용정보원

008 수출입은행                 102 대신저축은행

011 NH농협은행               103 에스비아이저축은행

012 농․축협                     104 에이치케이저축은행

020 우리은행                   105 웰컴저축은행

023 SC제일은행                106 신한저축은행

027 한국씨티은행              209 유안타증권

031 대구은행                    218 KB증권

032 부산은행                    221 상상인증권

034 광주은행                   222 한양증권

035 제주은행                   223 리딩투자증권

037 전북은행                   224 BNK투자증권

039 경남은행                   225 IBK투자증권

041 우리카드                   227 KTB투자증권

044 외환카드                   238 미래에셋대우

045 새마을금고                240 삼성증권

048 신협                         243 한국투자증권

050 저축은행                   247 NH투자증권

052 모건스탠리은행           261 교보증권

054 HSBC은행                  262 하이투자증권

055 도이치은행                263 현대차증권

057 제이피모간체이스은행  264 키움증권

058 미즈호은행                265 이베스트투자증권

059 엠유에프지은행          266 SK증권

060 BOA은행                   267 대신증권

061 비엔피파리바은행        269 한화투자증권

062 중국공상은행             270 하나금융투자

063 중국은행                  271 토스준비법인

064 산림조합중앙회          278 신한금융투자

065 대화은행                  279 DB금융투자

066 교통은행                  280 유진투자증권

067 중국건설은행            287 메리츠증권

071 우체국                     288 카카오페이증권

076 신용보증기금            290 부국증권

077 기술보증기금             291 신영증권

081 하나은행                   292 케이프투자증권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293 한국증권금융             437 에이비엘생명

294 한국포스증권             438 신한생명

295 우리종합금융             439 KB생명보험

299 아주캐피탈                440 농협생명

361 BC카드                     441 삼성화재

364 광주카드                   442 현대해상

365 삼성카드                   443 DB손해보험

366 신한카드                   444 KB손해보험

367 현대카드                   445 롯데손해보험

368 롯데카드                   446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369 수협카드                   447 악사손해보험

370 씨티카드                   448 메리츠화재

371 NH카드                    449 농협손해보험

372 전북카드                   450 푸르덴셜생명보험

373 제주카드                   452 삼성생명

374 하나SK카드                453 흥국생명

381 KB국민카드                454 한화손해보험

431 미래에셋생명             455 AIA생명보험

432 한화생명                   456 DGB생명보험

433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457 DB생명보험

434 푸본현대생명             458 KDB생명보험

435 라이나생명                469 금융정보분석원

436 교보생명

 

은행 (총 89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001 한국은행                    041 우리카드

002 산업은행                    042

003 기업은행                    043 기업은행

004 KB국민은행                 044 외환카드

005 하나은행                    045 새마을금고

006 KB국민은행                046 새마을금고

007 수협은행                    047 신협

008 수출입은행                 048 신협

009 수협은행                    049 신협

010 NH농협은행                050 저축은행

011 NH농협은행                051 기타 외국계은행(중국 농업은행 등)

012 농축협                       052 모간스탠리은행

013 농축협                       053 한국씨티은행

014 농축협                       054 HSBC은행

015 농축협                       055 도이치은행

016 NH농협은행                056

017 농축협                       057 제이피모간체이스은행

018 농축협                       058 미즈호은행

019 KB국민은행                 059 엠유에프지은행

020 우리은행                    060 BOA은행

021 신한은행                   061 비엔피파리바은행

022 우리은행                   062 중국공상은행

023 SC제일은행                063 중국은행

024 우리은행                    064 산림조합중앙회

025 하나은행                   065 대화은행

026 신한은행                   066 교통은행

027 한국씨티은행             067 중국건설은행

028 신한은행                   068

029 KB국민은행                069

030 수협은행                   070

031 대구은행                   071 우체국

032 부산은행                   072 우체국

033 하나은행                   073 우체국

034 광주은행                   074 우체국

035 제주은행                   075 우체국

036 한국씨티은행             076 신용보증기금

037 전북은행                   077 기술보증기금

038                               078 KB국민은행

039 경남은행                   079 KB국민은행

040                               080 하나은행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081 하나은행                   089 케이뱅크

082 하나은행                   090 카카오뱅크

083 우리은행                   092 토스혁신준비법인

084 우리은행                  102 대신저축은행

085 새마을금고               103 에스비아이저축은행

086 새마을금고               104 에이치케이저축은행

087 새마을금고               105 웰컴저축은행

088 신한은행                  106 신한저축은행

 

금융투자회사 (총 38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209 유안타증권                266 SK증권

218 KB증권                     267 대신증권

221 상상인증권               268 메리츠증권

222 한양증권                   269 한화투자증권

223 리딩투자증권             270 하나금융투자

224 BNK투자증권             271 토스준비법인

225 IBK투자증권              278 신한금융투자

226 KB증권                    279 DB금융투자

227 KTB투자증권             280 유진투자증권

230 미래에셋대우            287 메리츠증권

238 미래에셋대우            288 카카오페이증권

240 삼성증권                 289 NH투자증권

243 한국투자증권            290 부국증권

247 NH투자증권             291 신영증권

261 교보증권                 292 케이프투자증권

262 하이투자증권            293 한국증권금융

263 현대차증권               294 한국포스증권

264 키움증권                  295 우리종합금융

265 이베스트투자증권       299 아주캐피탈

 

카드사 (총 13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361 BC카드                      370 씨티카드

364 광주카드                    371 NH카드

365 삼성카드                   372 전북카드

366 신한카드                   373 제주카드

367 현대카드                   374 하나SK카드

368 롯데카드                   381 KB국민카드

369 수협카드

 

 

보험사 (총 27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431 미래에셋생명              445 롯데손해보험

432 한화생명                    446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433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447 악사손해보험

434 푸본현대생명              448 메리츠화재

435 라이나생명                 449 농협손해보험

436 교보생명                    450 푸르덴셜생명보험

437 에이비엘생명              452 삼성생명

438 신한생명                   453 흥국생명

439 KB생명보험                454 한화손해보험

440 농협생명                   455 AIA생명보험

441 삼성화재                   456 DGB생명보험

442 현대해상                   457 DB생명보험

443 DB손해보험               458 KDB생명보험

444 KB손해보험

 

 

기타 (총 2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101 한국신용정보원      469 금융정보분석원

반응형
반응형

 

 

사건 경위
  •  2018년 6월 인천 서구의 한 아파트에 이사 온 A씨 부부는 이사 온 다음 날부터 아래층 B씨 부부로부터 층간 소음으로 수십 차례 경찰 신고를 당함.
  • 하지만 A씨 부부는 소음을 낸 사실이 없으며, 오히려 이사 온 지 한 달 후 무렵부터 아래층에서 '층간 소음 보복 장치'로 일부러 소음을 내어 각종 소리가 계속 들려옴.
  • A씨 부부는 불안장애, 우울증 진단까지 받은 후 6개월만인 2019년 1월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갔고, B씨 부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냄.
여러 증거들
  • B씨 부부는 소음을 부인하여 오히려 A씨 부부가 층간 소음을 냈다고 주장.
  • B씨 부부의 주장 반대 증거들
    • B씨 부부로부터 소음과 진동이 들여왔다는 이웃들의 진술서
    • A씨 부부의 신고로 출동한 경찰이 출동 당시에도 아래층에서 소리가 들렸다는 진술
    • A씨 부부가 같은 아파트의 다른 동에서 살던 4년동안 소음으로 문제를 일으킨 적이 없었다는 이웃들의 진술
    • A씨 부부가 집에 없었을 때에도 B씨 부부는 여러 차례 층간 소음을 신고함 (습관성 민원)
    • A씨 부부가 층간 소음 피해로 이사를 간 후에도 B씨 부부의 신고가 계속됨
    • A씨 부부 전에 거주하던 세입자들도 B씨 부부의 반복된 민원신고로 이사를 간 것으로 봄
인천지방법원 재판 결과
  • B씨가 층간 소음을 발생시키고 민원을 제기함으로써 불법행위를 저질렀다.
  • A씨 부부에게 각각 위자료 500만원을 배상
  • A씨 부부에게 위자료와 A씨가 다른 곳으로 이사 가서 낸 집세(2019년 1월~2020년 2월)인 월세 1960만원을 물어내라.
  • 위자료 + 집세 + 법정이자 = 3000만원이 넘는 금액
  • B씨가 앞으로 소음을 낼때마다 하루당 100만원씩 물어내라는 '간접강제' 명령도 내림.
반응형
반응형

 

<사건 경위>

  • 날짜 =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7분경
  • 위치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 원인 = 부실공사, 불법 구조변경
  • 결과 = 건물의 전체적 붕괴(사망자 502명(남 106명, 여 396명, 사망 확인 472명, 사망 인정 30명), 부상자 937명, 실종 6명)

 

<사건 정리>

 이 사건은 1995년 6월 29일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삼풍백화점이 붕괴한 사건입니다.

 

 

 

<사건 원인>

  • 부지 용도 = 삼풍아파트가 완공된 후, 남은 땅에 상가나 다른 건물을 짓고자 공사를 하였지만 주거용 부지였기 때문에 무허가 공사로 제재를 받았다. 하지만, 삼풍그룹은 서초구청 공무원들에게 뇌물을 준 뒤 불법적으로 용도를 변경하였다.
  • 내부 구조 임의 변경 = 최초 삼풍아파트 대단지의 종합상가인 '삼풍랜드'로 설계(지하 4층, 지상 4층)되었지만, 완공될 때쯤 당시 삼풍건설산업의 회장 이준이 당시 시공사인 우성건설에게 백화점으로 변경해 달라고 요구함. 건물 붕괴를 우려한 우성건설 측이 이를 거부하자, 이준 회장은 계약을 파기하고 당시 삼풍건설산업에 변경을 지시, 공사 강행됨.
  • 넓은 매장공간 확보를 위한 벽을 제거함 -> 기둥에 무게가 집중됨
  • 에스컬레이터를 만들기 위해 각층에 구멍을 뚫어 그 크기만큼 콘크리트가 사라짐 -> 기둥에 무게가 추가됨
  • 철근 변경 = 바닥과 기둥을 연결하기 위해 'L'자형 철근을 사용해야 하는데, 삼풍은 비용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자형 철근 사용 -> 바닥과 기둥을 연결할 수 없게 되어 기둥이 바닥을 뚫고 나오는 일이 발생. 건물이 붕괴될 때 아무런 제동장치 없이 순식간에 무너진 이유가 이것임!!
  • 5층 불법 확장 = 4층까지만 설계되었던 것을 우성건설과의 계약 파기 이후에 5층으로 확장 변경함. 5층을 롤러스케이트장으로 계획했지만 식당가로 불법 변경하여서 배수로, 온돌, 돌 정원, 대형 냉장고 등 하중이 증가됨.
  • 냉각탑 = 본래 지하에 설치하려 했지만 지하공간 확보를 이유로 옥상에 설치됨(건물 전체에 진동이 울림). 최초 북관 동쪽 삼풍아파트 7동 방향으로 설치가 되었는데 거리가 30m도 안되어 이로 인한 소음으로 주민들의 불만이 제기됨. 그래서 북관 서쪽 우면로 방향으로 옮기기로 했는데, 크레인으로 들어서 옮기여야 하는데 비용절감을 위해 굴림대에 싣고 이동함. 이 과정에서 바닥이 깨지기 시작함.

 

<사건 결과>

  • 오후 5시 57분, 5층 바닥의 가장 약한 기둥 2개가 무너지며, 그 기중이 옥상까지 끌어당기면서 건물 붕괴는 시작됨.
  • 5층의 잔해와 콘크리트가 무너져내리며 아래층을 차례대로 무너뜨리기 시작했고, 약 20초 만에 건물은 지하 4층까지 완전하게 매몰되었으며, 안에 있던 1,500여 명의 사람들은 잔해 속에 묻히게 됨.
  • 붕괴 직후 태풍 같은 바람이 10여 초간 휘몰아 가까운 타 지역으로 날아감.
  • 전 삼풍건설산업 회장 이준에게는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적용하여 징역 7년 6개월 선고 -> 출소 후 서울 신당동 자택에서 살다가 지병이 악화되어 2003년 10월 4일 81세로 별세
  • 뇌물을 받고 설계변경 등을 승인해 준 전 서초구청장 이충우(징역 10개월에 추징금 300만 원), 황철민(징역 10개월에 추징금 200만 원)에게 뇌물수수죄 적용.
  • 2심에서 징역 7년형을 받은 전 삼풍백화점 대표이사 이한상 등 12명은 상고를 포기하여 실형이 선고됨 -> 출소 후 삼풍아파트의 자택에서 살다가 2004년 몽골로 건너가 몽골 선교사가 됨.
반응형
반응형

 

 

 

<사건 경위>

  • 날짜 = 1970년 4월 8일
  • 위치 = 서울시 마포구 창전동
  • 원인 = 부실공사
  • 결과 = 건물의 완전 붕괴(사망자 34명, 부상자 40명)

 

 

 

<사건 정리>

 이 사건은 1970년 4월 8일 서울시 마포구 창전동 산 1번지에 위치한 와우지구 시민아파트의 한 동(5층)이 부실공사로 무너진 사건입니다.

 

 

 

 

<사건 원인>

  • 서울시가 와우산 일대에 건설한 시민아파트로써 무면허 건설업자는 가파른 산 중턱에 아파트를 지었는데 그 이유는 김현옥 서울시장이 자신의 업적을 대통령(당시 박정희 대통령)에게 일부러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 건설 허가를 따내기 위해 뇌물로 인해 공사자재를 아낌(철근 70개를 넣어야 할 기둥에 5개만 넣음)
  • 공사기간이 단 6개월 만에 준공
  • 건물 하중 초과 및 콘크리트 배합 비율 엉망
  • 암반이 아닌 부토 위에 기둥을 2m 세움. 결국 해빙기인 4월에 지층이 내려앉아 건물이 무너짐

 

 

<사건 결과>

  • 1970년 4월 8일 오전 6시 40분경 아파트 한 동이 무너져 사망 33명, 부상 38명 인명피해 발생
  • 또한 무너진 아파트 잔해로 인해 아래에 있던 판잣집을 덮쳐 사망 1명, 부상 2명 인명피해 발생 
  • 당시 서울시장 김현옥 퇴출, 관련자 구속
  • 이전 지어진 시민아파트의 안전도 점검실시(총 405동 중 349동 보수대상)
  • 현재 와우아파트 철거되었으며, 철거 부지는 녹지 공간 와우공원으로 조성됨

 

 

 

반응형
반응형

 

 

출처 = 정부24

 

 

 

기존 발표된 내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1. 지급수단별 특성
  2. 5부제 신청방법
  3. 지급액

지급수단

별 특성

 

지급수단신용/체크카드선불카드지역사랑상품권
신청일(온라인)5/11 (07시) ~ 5/315/18 (09시) ~ 6/18
신청일(오프라인)5/18 (09시) ~ 5/315/18 (09시) ~ 6/19
사용시기11일부터 5부제 신청18일부터 5부제 신청
신청방법
사용처광역 지자체지자체별 설정거주하는 기초 지자체에서만 사용가능
사용가능업종모두 백화점,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유흥업소 등에선 사용할 수 없음.(단, 신용/체크카드 경우 배달앱에서 결제 방식을 '현장 결제'로 선택하여 사용 가능함)
 5/11일부터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5/11일부터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사용기간~8/31(이후 잔액은 정부가 환수함)~8/31 (단, 종이형 지역사랑상품권은 조례상 5년, 8/31까지 사용 권고)

 


5부제

신청방법

# 저소득층 280만 가구 우선 지급

# 일반가구는 11일부터 접수(조회/신청 모두 5부제 적용)

# 시행 초기 '마스크 5부제'와 동일한 방법 사용 (단, 신용/체크카드 온라인 신청은 16일부터 신청 요일제가 해제)

 

 토/일
주민번호 출생년도의 끝자리12345모두
67890

예를 들면) 1980년생은 금요일 신청 가능


지급액

 

# 정부 발표 금액 (단, 일부 지자단체의 경우 자체적인 생계지원금 지급 여부 등에 따라 금액이 다소 달라질 수 있음)

(update. 2020.05.19)

가구원 수 기준지급액지자체 분담금 제외
1인 가구40만원348,000원
2인 가구60만원523,000원
3인 가구80만원697,000원
4인 이상가구100만원871,000원

 

# 경기도 29개 시군 일부 감액 (지방재정 선지급분 제외하기로)

소득 범위지원 방법
소득 상위 30%전액 국비
소득 하위 70%국비 : 지자체 = 8 : 2

 

소득 상위 30%는 전액 중앙정부 지원이기 때문에 100만 원이 전부 지급된다.

그러나, 소득 하위 70%는 지자체 재난지원금이 이미 지급됐을 경우 정부가 80%만 지급하기 때문에 정부 지원금을 80만 원만 받게 된다.

이 같은 역진성을 해소하기 위해 상위 30%와 하위 70%에 지급되는 정부 예산을 합쳐 소득에 관계없이 인구수대로 `N분의 1 방식`으로 계산해 지급액을 정했다. 이런 보정 작업을 거쳐 경기도에서는 가구 소득과 상관없이 정부 지원 재난지원금이 87만 원으로 변경됐다.

 

예를 들면)

4인가구 기준지급액
수원시를 비롯한 25개 시군87만1000원
성남시, 안산/광주/하남시93만5000원 (+6만4000원 지원)
고양시, 부천시100만원 (+12만9000원 지원)
서울시
인천시

 

반응형
반응형

 

출처 = 대한민국정부 홈페이지

(update 2020.04.30)
# 2020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긴급재난지원금)이 2020.04.30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됨.
# 긴급재난지원금 지원범위를 소득 하위 70%에서 전 국민으로 확대 (아래 내용은 2020.04.30 변경 전 내용임)

# 현재 새로운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세요!!

2020/05/05 - [지식과 Life/공공기관] - 긴급재난지원금 간단 총정리! 왜 13만원이 적을까?


 정부가 오늘(2020.04.16) 소득 하위 70% 이하 1,478만 가구에 가구당 최대 10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 위한 7조 6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편성했다.

 

지원 대상은?

올해 3월 말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 하위 70% 가구.

 

각 가입자별 해당 가구 (4인 가구 기준) 

  • 직장가입자 가구 = 237,652원 이하
  • 지역가입자 가구 = 254,909원 이하
  • 혼합(직장+지역) 가구 = 242,715원 이하

단,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더라도 제외되는 대상 (약 12만5천가구 해당)

  • 가구원의 재산세 과세표준 합산금액 = 9억 원 초과 (공시지가 기준 약 15억 원, 시세로는 20~22억 원 수준)
  • 금융종합소득세 부과 기준 = 금융소득 연 2천만 원 초과 (연 이자율 1.6% 가정 시 약 12억 5천만 원의 예금)

또한, 추가 지원 대상!!!

지역가입자(자영업, 소상공인, 프리랜서 등)는 소득 하위 70% 이하가 아니더라도 가능성이 있음!!

(직장 가입자와 달리 지역 가입자는 2018년 소득을 기준으로 올해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어, 최근 코로나19 피해가 제때 반영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한 것임)

  • 최근 2~3월 소득 하락 증빙 서류를 제출하면, 건강보험료를 추정해 선정기준에 충족하면 지원 대상이 됨
  • 자영업자 경우 -> 카드사로부터 매출액이 입금된 통장 사본이나 매출관리시스템(POS)으로 매출 감소 여부를 증명할 수 있음
  • 프리랜서와 학습지 교사 등 특별 형태 근로자 경우 -> 용역계약서, 위촉 서류, 소득감소 확인서 등을 제시하면 됨
지급액과 지급 방법은?

지급액

  • 1인 가구 = 40만 원
  • 2인 가구 = 60만 원
  • 3인 가구 = 80만 원
  • 4인 가구 이상 = 100만 원

지자체가 활용 중인 지역사랑상품권, 전자화폐 등 형태로 지급될 예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