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론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웃이지만, 역사적으로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습니다. 양국은 경제, 문화,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지만, 역사 문제와 영토 분쟁 등으로 인해 갈등이 지속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역사적 배경, 현재 상황, 그리고 미래 전망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한국과 일본의 역사적 관계

 

(1) 과거사 문제

한국과 일본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역사적 이슈는 **일제강점기(1910~1945년)**입니다. 일본은 한반도를 식민지로 삼고, 수많은 한국인을 강제 동원하고, 문화와 언어를 탄압했습니다. 특히, 위안부 문제강제징용 문제는 현재까지도 한일 관계의 주요 갈등 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함께 한국은 독립을 맞이했지만, 전쟁 피해에 대한 사과와 보상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2) 한일 협정과 이후 관계

1965년, 한국과 일본은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여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습니다. 이 협정을 통해 일본은 한국에 **경제적 지원(무상 3억 달러, 유상 2억 달러 등)**을 제공했지만, 개인에 대한 직접적인 배상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후 1990년대부터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 교과서 문제, 정치인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이 반복되면서 양국 관계는 긴장 상태를 유지해 왔습니다.

 

 


 

 

2. 현재 한일 관계: 갈등과 협력

 

(1) 경제 협력과 기술 교류

한일 양국은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한국의 주요 무역국 중 하나이며,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협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은 한국의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핵심 소재(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등)를 공급하는 중요한 국가입니다. 그러나 2019년 일본 정부가 한국을 수출 규제 대상국에서 제외하면서 한일 경제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2) 역사 문제와 정치적 갈등

역사 문제는 여전히 한일 관계를 어렵게 만드는 핵심 요소입니다.

  • 위안부 문제: 2015년 한일 정부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를 도출했지만, 피해자들의 반발과 한국 내 여론 악화로 인해 실질적인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강제징용 배상 판결: 한국 대법원은 일본 기업에 대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할 것을 판결했으며, 일본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 독도 문제: 일본은 한국이 실효 지배 중인 독도(일본명: 다케시마)에 대한 영유권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어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3) 문화 및 스포츠 교류

한류(K-POP, 드라마, 영화 등)는 일본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일본 문화(애니메이션, 음식 등)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또한, 한일 양국은 올림픽, 월드컵 등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 경쟁과 협력을 병행해 오고 있습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는 양국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3. 한일 관계의 미래 전망

 

(1) 협력 확대 가능성

한일 관계는 역사적 갈등에도 불구하고, 경제, 안보,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경제 분야: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산업 등에서 협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보 협력: 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미일 삼각 공조가 중요해지면서 안보 협력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2) 갈등 해결을 위한 과제

한일 관계가 안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과거사 문제 해결: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배상, 역사 교육 개선이 필요합니다.
  • 외교적 대화 강화: 정상회담, 민간 교류 확대 등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결론

한국과 일본은 역사적으로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역사 문제로 인한 갈등이 여전히 남아 있지만, 양국이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협력을 강화한다면 보다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한일 관계가 개선될 수 있도록 양국 정부뿐만 아니라 국민 간의 지속적인 교류와 소통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어떤 플랫폼을 선택할 것인가입니다. 대표적인 블로그 플랫폼으로는 티스토리워드프레스가 있습니다. 두 플랫폼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 최적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애드센스 승인과 수익화

① 티스토리

티스토리는 국내 블로그 플랫폼 중 구글 애드센스 승인이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기본적으로 티스토리는 HTML과 CSS 편집을 지원하며, 애드센스를 설치하는 과정도 간단합니다. 또한, 트래픽이 많아지면 자체 광고 수익 프로그램(티스토리 애드핏)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②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는 자체적으로 광고를 운영하는 WordPress.com과 자유롭게 사이트를 구축하는 WordPress.org로 나뉩니다. 애드센스를 원활하게 운영하려면 WordPress.org를 선택해야 하며, 자신만의 도메인과 호스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애드센스 승인 이후에는 광고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수익 최적화가 용이합니다.

 

 

2. SEO 최적화

① 티스토리

티스토리는 네이버, 구글 등 주요 검색엔진에서 기본적인 SEO 최적화가 가능하지만, 자유도가 낮은 편입니다. 메타 태그 수정이나 고급 SEO 설정이 제한적이며, 플러그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전문적인 SEO 최적화를 하기엔 부족합니다.

②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는 Yoast SEO, Rank Math 같은 강력한 SEO 플러그인을 지원합니다. 사이트맵 생성, 메타 태그 최적화, 키워드 분석 등을 쉽게 할 수 있으며, 구글 검색엔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SEO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면 워드프레스가 더 적합합니다.

 

 

3. 커스터마이징과 확장성

① 티스토리

티스토리는 기본적인 HTML, CSS 편집이 가능하지만, 기능 확장이 제한적입니다. 스킨을 변경하여 디자인을 바꿀 수는 있지만, 워드프레스처럼 다양한 플러그인을 활용할 수는 없습니다.

②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는 커스터마이징의 끝판왕이라 불릴 정도로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5만 개 이상의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코딩 지식이 없어도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4. 유지보수와 운영 편의성

① 티스토리

티스토리는 서버 관리가 필요 없고, 별도의 유지보수 없이 운영할 수 있어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 하지만 기능이 제한적이므로 전문적인 블로그 운영에는 다소 부족할 수 있습니다.

②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는 자유도가 높은 대신 호스팅 관리, 보안, 업데이트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어느 정도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더욱 전문적인 블로그 운영이 가능합니다.

 

 

 

5. 추천 대상

  • 티스토리 추천: 블로그 운영이 처음이거나 간단한 콘텐츠를 운영하면서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을 얻고 싶은 사람
  • 워드프레스 추천: SEO 최적화, 수익화, 맞춤형 디자인을 고려하며, 장기적으로 블로그를 성장시키고 싶은 사람

 

 

 

결론: 어떤 플랫폼이 더 좋을까?

결론적으로, 티스토리는 간편한 운영과 빠른 애드센스 승인이 강점이며, 워드프레스는 SEO와 커스터마이징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가집니다. 만약 장기적인 수익을 목표로 한다면 워드프레스가 더욱 유리하지만, 초보자라면 티스토리에서 시작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결국, 자신의 블로그 운영 목적과 기술적 수준에 따라 적합한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금과 은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도난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보관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금과 은 보관의 중요성

금과 은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경제 불안정 시기에 가치 저장 수단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하지만 물리적 자산이기 때문에 도난, 분실, 손상 위험이 따릅니다. 따라서 안전한 보관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금과 은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

2.1 자택 보관

집에서 금과 은을 보관할 경우, 보안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하세요.

  • 방화 및 방수 금고 사용: 내구성이 강한 금고를 선택하여 화재나 침수에도 안전하도록 합니다.
  • 비밀스러운 장소 선정: 흔히 예상되는 장소(옷장, 서랍 등)는 피하고, 숨겨진 공간을 활용합니다.
  • 보안 시스템 활용: CCTV, 도어 센서, 알람 시스템을 설치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2.2 은행 금고 이용

은행의 개인 금고(안전 금고)는 가장 안전한 보관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은행이 보안 및 보험을 제공하므로 도난 위험이 낮습니다.
  • 장기적으로 보관할 경우 관리가 용이합니다.
  • 단, 이용료가 발생하며, 은행 영업시간에만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2.3 전문 보관 서비스 활용

금과 은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다면, 전문 보관 업체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전문 업체는 보안 시설과 보험이 포함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물리적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필요할 때 출고가 가능합니다.
  • 보관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고액 자산 보호에는 효과적입니다.

 

 

3. 금고 선택 시 고려할 사항

금과 은을 집에 보관하는 경우, 금고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 방화 및 방수 기능: 화재나 홍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열성과 내수성을 갖춘 금고를 선택하세요.
  • 무게: 가벼운 금고는 쉽게 도난당할 위험이 있으므로, 일정 무게 이상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보안 등급: 도난 방지 등급이 높은 금고를 선택하고, 추가적인 잠금 장치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4. 금과 은 보관 시 주의사항

  • 타인에게 보관 사실 노출 금지: 가족을 포함하여 최소한의 사람만 귀금속 보관 장소를 알도록 해야 합니다.
  • 분산 보관: 한 곳에 모든 귀금속을 보관하지 말고, 여러 장소에 분산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정기 점검: 금과 은이 변색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적절한 보관 환경을 유지하세요.

 

5. 결론

금과 은은 가치가 높은 자산이므로 보관 방법에 따라 그 가치가 유지되거나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자택 보관, 은행 금고 이용, 전문 보관 서비스 등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보관 방법을 선택하세요. 철저한 보안과 적절한 관리가 안전한 자산 보호의 핵심입니다.

© 2025 귀금속 안전 보관 가이드

반응형
반응형

 

바퀴벌레 퇴지

 

 

1. 바퀴벌레가 나타나는 이유

바퀴벌레는 습하고 따뜻한 환경을 좋아하며, 음식물 쓰레기와 오염된 공간에서 번식합니다. 특히 주방, 화장실, 배수구 주변은 바퀴벌레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므로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2. 바퀴벌레 퇴치 방법

2.1 천연 퇴치법

  • 베이킹소다와 설탕: 설탕과 베이킹소다를 1:1 비율로 섞어 바퀴벌레가 자주 나타나는 곳에 두면, 섭취 후 베이킹소다가 가스를 발생시켜 바퀴벌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붕산과 계란노른자: 붕산과 계란노른자를 섞어 작은 알약 형태로 만들어 배치하면 바퀴벌레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 피톤치드 오일: 피톤치드 오일을 물에 희석하여 분무하면 바퀴벌레가 싫어하는 냄새로 인해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2.2 화학적 퇴치법

  • 바퀴벌레 전용 살충제: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프레이형 살충제를 바퀴벌레가 출몰하는 곳에 뿌려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바퀴벌레 트랩: 끈끈이형 트랩을 사용하면 바퀴벌레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습니다.
  • 바퀴벌레 유인제: 독이 포함된 유인제를 배치하면 바퀴벌레가 먹은 후 서식지로 돌아가 다른 개체도 함께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바퀴벌레 예방 방법

  • 청결 유지: 음식물 찌꺼기를 즉시 치우고, 싱크대 및 배수구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쓰레기 관리: 음식물 쓰레기는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고, 쓰레기통을 자주 비워야 합니다.
  • 틈새 차단: 바퀴벌레는 작은 틈을 통해 침입하므로 문틈, 배수구, 창문 틈을 실리콘이나 문풍지로 막아야 합니다.
  • 습기 조절: 바퀴벌레는 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주기적으로 환기하여 습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바퀴벌레 퇴치 시 주의사항

  • 살충제를 사용할 때는 환기를 충분히 시켜야 합니다.
  • 붕산 및 화학약품을 사용할 경우 어린이나 반려동물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 퇴치 후에도 주기적인 청소와 예방 조치를 지속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공유공간 입니다.

 

텔레뱅킹 or 모바일뱅킹 이용 시

자주 사용하는 은행이면 괜찮은데

가끔 잘 사용하지 않는

은행코드번호를 몰라서

당황할 때가 생기더군요.

 

 

그래서,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금융결제원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2020.8.13)

 

대표코드 (총 125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001 한국은행                    088 신한은행

002 산업은행                    089 케이뱅크

003 기업은행                    090 카카오뱅크

004 KB국민은행                 092 토스혁신준비법인

007 수협은행                    101 한국신용정보원

008 수출입은행                 102 대신저축은행

011 NH농협은행               103 에스비아이저축은행

012 농․축협                     104 에이치케이저축은행

020 우리은행                   105 웰컴저축은행

023 SC제일은행                106 신한저축은행

027 한국씨티은행              209 유안타증권

031 대구은행                    218 KB증권

032 부산은행                    221 상상인증권

034 광주은행                   222 한양증권

035 제주은행                   223 리딩투자증권

037 전북은행                   224 BNK투자증권

039 경남은행                   225 IBK투자증권

041 우리카드                   227 KTB투자증권

044 외환카드                   238 미래에셋대우

045 새마을금고                240 삼성증권

048 신협                         243 한국투자증권

050 저축은행                   247 NH투자증권

052 모건스탠리은행           261 교보증권

054 HSBC은행                  262 하이투자증권

055 도이치은행                263 현대차증권

057 제이피모간체이스은행  264 키움증권

058 미즈호은행                265 이베스트투자증권

059 엠유에프지은행          266 SK증권

060 BOA은행                   267 대신증권

061 비엔피파리바은행        269 한화투자증권

062 중국공상은행             270 하나금융투자

063 중국은행                  271 토스준비법인

064 산림조합중앙회          278 신한금융투자

065 대화은행                  279 DB금융투자

066 교통은행                  280 유진투자증권

067 중국건설은행            287 메리츠증권

071 우체국                     288 카카오페이증권

076 신용보증기금            290 부국증권

077 기술보증기금             291 신영증권

081 하나은행                   292 케이프투자증권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293 한국증권금융             437 에이비엘생명

294 한국포스증권             438 신한생명

295 우리종합금융             439 KB생명보험

299 아주캐피탈                440 농협생명

361 BC카드                     441 삼성화재

364 광주카드                   442 현대해상

365 삼성카드                   443 DB손해보험

366 신한카드                   444 KB손해보험

367 현대카드                   445 롯데손해보험

368 롯데카드                   446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369 수협카드                   447 악사손해보험

370 씨티카드                   448 메리츠화재

371 NH카드                    449 농협손해보험

372 전북카드                   450 푸르덴셜생명보험

373 제주카드                   452 삼성생명

374 하나SK카드                453 흥국생명

381 KB국민카드                454 한화손해보험

431 미래에셋생명             455 AIA생명보험

432 한화생명                   456 DGB생명보험

433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457 DB생명보험

434 푸본현대생명             458 KDB생명보험

435 라이나생명                469 금융정보분석원

436 교보생명

 

은행 (총 89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001 한국은행                    041 우리카드

002 산업은행                    042

003 기업은행                    043 기업은행

004 KB국민은행                 044 외환카드

005 하나은행                    045 새마을금고

006 KB국민은행                046 새마을금고

007 수협은행                    047 신협

008 수출입은행                 048 신협

009 수협은행                    049 신협

010 NH농협은행                050 저축은행

011 NH농협은행                051 기타 외국계은행(중국 농업은행 등)

012 농축협                       052 모간스탠리은행

013 농축협                       053 한국씨티은행

014 농축협                       054 HSBC은행

015 농축협                       055 도이치은행

016 NH농협은행                056

017 농축협                       057 제이피모간체이스은행

018 농축협                       058 미즈호은행

019 KB국민은행                 059 엠유에프지은행

020 우리은행                    060 BOA은행

021 신한은행                   061 비엔피파리바은행

022 우리은행                   062 중국공상은행

023 SC제일은행                063 중국은행

024 우리은행                    064 산림조합중앙회

025 하나은행                   065 대화은행

026 신한은행                   066 교통은행

027 한국씨티은행             067 중국건설은행

028 신한은행                   068

029 KB국민은행                069

030 수협은행                   070

031 대구은행                   071 우체국

032 부산은행                   072 우체국

033 하나은행                   073 우체국

034 광주은행                   074 우체국

035 제주은행                   075 우체국

036 한국씨티은행             076 신용보증기금

037 전북은행                   077 기술보증기금

038                               078 KB국민은행

039 경남은행                   079 KB국민은행

040                               080 하나은행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081 하나은행                   089 케이뱅크

082 하나은행                   090 카카오뱅크

083 우리은행                   092 토스혁신준비법인

084 우리은행                  102 대신저축은행

085 새마을금고               103 에스비아이저축은행

086 새마을금고               104 에이치케이저축은행

087 새마을금고               105 웰컴저축은행

088 신한은행                  106 신한저축은행

 

금융투자회사 (총 38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209 유안타증권                266 SK증권

218 KB증권                     267 대신증권

221 상상인증권               268 메리츠증권

222 한양증권                   269 한화투자증권

223 리딩투자증권             270 하나금융투자

224 BNK투자증권             271 토스준비법인

225 IBK투자증권              278 신한금융투자

226 KB증권                    279 DB금융투자

227 KTB투자증권             280 유진투자증권

230 미래에셋대우            287 메리츠증권

238 미래에셋대우            288 카카오페이증권

240 삼성증권                 289 NH투자증권

243 한국투자증권            290 부국증권

247 NH투자증권             291 신영증권

261 교보증권                 292 케이프투자증권

262 하이투자증권            293 한국증권금융

263 현대차증권               294 한국포스증권

264 키움증권                  295 우리종합금융

265 이베스트투자증권       299 아주캐피탈

 

카드사 (총 13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361 BC카드                      370 씨티카드

364 광주카드                    371 NH카드

365 삼성카드                   372 전북카드

366 신한카드                   373 제주카드

367 현대카드                   374 하나SK카드

368 롯데카드                   381 KB국민카드

369 수협카드

 

 

보험사 (총 27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431 미래에셋생명              445 롯데손해보험

432 한화생명                    446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

433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447 악사손해보험

434 푸본현대생명              448 메리츠화재

435 라이나생명                 449 농협손해보험

436 교보생명                    450 푸르덴셜생명보험

437 에이비엘생명              452 삼성생명

438 신한생명                   453 흥국생명

439 KB생명보험                454 한화손해보험

440 농협생명                   455 AIA생명보험

441 삼성화재                   456 DGB생명보험

442 현대해상                   457 DB생명보험

443 DB손해보험               458 KDB생명보험

444 KB손해보험

 

 

기타 (총 2개)

코드 기관명                     코드 기관명

101 한국신용정보원      469 금융정보분석원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공유공간 입니다.

 

 

오랜만에 시골에서 운동삼아 동네 한 바퀴를 돌았습니다.

지금은 겨울이라 논에는 아무것도 없이 휑합니다.

도시와는 다르게 먼 곳까지 논이 펼쳐져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해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엄청 추워집니다.

칼바람이 얼굴에 붙히치며 추워지는데..

와.. 얼른 집으로 복귀를 서둘렸습니다.

 

시골 논

 

그러던 중 논 주변에 우뚝 솟은 전봇대가 눈에 띄었습니다.

항상 주변에 있기 때문에 신경이 쓰이지 않다가 전봇대에 붙여 있는 표지판의 내용이 궁금했습니다.

 

오늘은 그 표지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주번호찰'이란?

 

 

전주번호찰

전주번호찰은 위 사진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관리구 번호'

'전산화 번호'

'선로명'

'현행 전주번호'

'시공년월'

'장척'

'시공회사'

 

이 중 첫 번째 '관리구 번호'에는

경도(앞 두자리), 위도(뒤 두자리)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두 번째인 '전산화 번호'는

각 개인마다 주민등록번호가 있듯이

한국전력공사에서 전주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도면으로

관리하기 위해 부여하는 고유번호입니다.

 

그래서,

 

 도움이 필요할 때 119에 전화를 했는데,

현재 위치의 정보를 설명할 수 없다고 하면,

'전주번호찰' 정보 중에서

'관리구 번호' + '전산화 번호'

알려주면 금방 알 수가 있다고 하네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