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고 있는 하루 24시간은 고정된 값처럼 보이지만, **지구의 자전 속도는 아주 느리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하루가 아주 조금씩 **길어지고 있는 것**이죠. 이 변화는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지만, 수억 년에 걸쳐 누적되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 1. 조석 마찰(Tidal Friction) – 가장 큰 원인
가장 주된 원인은 바로 **달의 중력**에 의한 **조석 마찰**입니다. 달은 지구의 바다에 **조수간만의 차**를 일으키고, 이때 생성되는 마찰력이 **지구의 자전 에너지를 서서히 빼앗습니다.**
- 🌕 달의 인력 → 해수면 팽창(밀물) → 마찰 발생
- 🔁 해류 저항 → 지구 자전 속도 감속
- 📉 그 결과 → 하루의 길이가 서서히 길어짐
현재 속도: 하루에 약 1.7밀리초씩 증가 중
🌍 2. 지구 내부와 지각 운동의 영향
지구 내부의 **용융 핵 운동**, 지각의 이동, **지진이나 화산 활동**도 자전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 대규모 지진 → 지구 질량 재분배 → 자전 불균형
- 🌐 빙하가 녹으며 질량 분포가 변할 경우 → 회전축 이동
- 🧭 극이동 현상 → 자전 속도에 미세한 변화 발생
📏 3. 실제 얼마나 느려지고 있을까?
과학자들은 지층 속 고대 조개 화석, 산호 성장선 등을 통해 지구의 자전 속도를 추정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약 6억 년 전 하루는 약 21.9시간**에 불과했습니다. 당시에는 **1년이 400일 이상**이었을 정도죠.
시기 | 하루 길이 | 1년 일수 |
---|---|---|
현재 | 24시간 | 365.24일 |
6억 년 전 | 약 21.9시간 | 약 400일 |
🛰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 🧭 **세슘 원자시계** – 초 단위 정확도 확보
- 📡 **레이저 거리 측정기(Lunar Laser Ranging)** – 달까지 거리 측정
- 🛰 **GPS 위성** – 지구 회전의 실시간 변화 감지
이런 정밀 측정 기술 덕분에, 우리는 자전 속도의 변화를 **수십 마이크로초 단위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 향후 영향은?
자전 속도가 느려진다고 해서 **일상이 급격히 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지구의 시간 측정 시스템(윤초 도입 등)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기후, 조류, 생체 리듬**에도 간접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지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아주 천천히 **자전 속도를 늦추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우주적 진화의 일환이며, 달과 지구의 중력적 상호작용이 만들어낸 긴 여정입니다. 우리가 사는 하루 24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변화하고 있는 값**이죠.
'지식과 Nature > 기상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령과 해구의 차이점 – 지각이 태어나고 사라지는 해저 지형 (1) | 2025.05.19 |
---|---|
지구의 편평도 측정 방법 – 극과 적도의 차이를 계산하는 과학 (0) | 2025.05.19 |
지구에서 가장 긴 산맥은 바닷속에 있다 – 해령(Mid-Ocean Ridge)의 정체 (0) | 2025.05.18 |
지구는 완벽한 구일까? – 과학으로 본 지구의 실제 모양 (0) | 2025.05.18 |
지구의 하루는 정말 24시간일까? (0) | 2025.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