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시기는 **후한(後漢)** 시기인 **1세기 중반**입니다. 불교는 원래 인도에서 시작된 종교지만, **중앙아시아를 거쳐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시기의 불교 전래는 단순한 종교 이동이 아닌, **동아시아 전체의 사상, 철학, 예술, 문학,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친 기점**으로 평가됩니다.
📌 불교 전래의 전설 – 명제의 꿈
중국 역사서인 『후한서(後漢書)』에 따르면, **후한 명제(明帝)**는 어느 날 **황금빛 신이 날아다니는 꿈**을 꾸었다고 합니다.
이 꿈의 해석을 들은 명제는 서역(西域)에서 전해지는 불법(佛法)을 찾기 위해 사절단을 파견했습니다. 이 사절단이 **인도계 승려 카쉬야파 마탄가(迦葉摩騰)**와 **주법란(竺法蘭)**을 모셔오며 불교는 처음으로 중국 땅에 들어오게 됩니다.
📍 백마사(白馬寺)의 건립
후한 명제는 두 승려에게 머무를 곳을 마련해 주고, **중국 최초의 불교 사찰인 ‘백마사’**를 **68년 낙양(오늘날 허난성 뤄양)**에 세웠습니다.
백마사(白馬寺)는 ‘흰 말이 경전을 실어왔다’는 전설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중국 불교의 **시작을 상징하는 역사적인 장소**입니다.
📚 초창기 불교 전래의 특징
- 📖 번역 활동: 산스크리트어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하는 작업이 본격화됨
- 🪷 정토·열반·공 사상: 기존 도교 사상과 융합되며 해석
- 🏯 사찰과 탑의 등장: 중국식 불교 건축 문화가 시작됨
- 📦 귀족 중심의 수용: 초기에는 국가와 귀족 중심으로 불교 수용
후한 시기의 불교는 **인도 불교의 원형과는 다르게**, **중국 문화와 융합되며 ‘중국화 된 불교’**로 발전하게 됩니다.
🔄 기존 종교와의 융합
불교는 도교, 유교와의 조화 속에서 삼교병립(三敎倂立)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특히 초기에는 불교가 도교의 신선 사상이나 사후세계 개념과 비슷하게 해석되며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이후 3세기~6세기에 걸쳐 불교는 중국 전역에 확산되며, **선종, 정토종, 천태종** 등 다양한 종파가 등장하게 됩니다.
후한 불교 전래의 역사적 의미
중국 후한 시기의 불교 전래는 단순한 종교 유입이 아니라, **문명 간의 교류와 동아시아 문명의 다양성**을 만들어낸 계기였습니다.
- 🧘 동아시아 불교문화의 시작점
- 📚 중국 경전 번역 전통의 시작
- 🇰🇷 한반도·일본 등 인접 국가로의 불교 전파 경로 형성
이 시기의 불교 수용은 훗날 한국, 일본, 베트남 등 아시아 전역의 불교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맺음말
중국 후한 시기, 명제의 꿈에서 시작된 불교 전래는 오늘날 동아시아 정신문화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그 시작은 작았지만, 불교는 이후 수천 년 동안 동양 철학, 예술, 정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존재가 되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