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공유공간 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잘 알고 있고 자주 사용하는 말인데도 순간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말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괜찮은데, 막상 글로 적으려고 보면
헷갈리기도 하고, 생각이 안나기도 합니다.
이 순간 정리를 해서
다음에는 헷갈리지 않기 위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지금부터 '으로써'와 '으로서'를 어떻게 구분하여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으로써'의 정의
[영어 사전]
(수단) with, by, by means of, through, using, (재료) with, of, out of
ex) 그의 권력으로써
with his power
첫 번째 정의는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격 조사'이다.
예를 들면,
'그가 하는 말이라면 콩으로써 메주를 쑨다고 해도 믿지 않는다.'
식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두 번째 정의는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이다.
예를 들면,
'그는 진실해야 한다는 이념으로써 나라를 다스렸다.'
식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세 번째 정의는
'시간을 셈할 때 셈에 넣는 한계를 나타내거나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이다.
예를 들면,
'운전면허 시험에 떨어진 것이 이번으로써 세 번째다.',
'금년으로써 내 오랜 소원을 풀었다.'
식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으로서'의 정의
[영어 사전]
as, for, in the capacity of
ex) 외국인으로서
for a foreigner
첫 번째 정의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입니다.
예를 들면,
'자식으로서 마땅히 할 일',
'사람으로서 어찌 그런 일을 할 수 있나?'
식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두 번째 정의는
'(예스러운 표현으로)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입니다.
예를 들면,
'남쪽으로서 햇빛이 들어온다.'
식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너무 헷갈리네요.
음.. 결론적으로
이 2가지 중 '으로서'가 사용하는 경우를 잘 알아야겠네요.
'지식과 언어습득 > 맞춤법 구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6탄) 뵈다와 봬다 구분하기 (0) | 2024.10.22 |
---|---|
(맞춤법 5탄) 결재와 결제 구분하기 (0) | 2024.10.22 |
(맞춤법 4탄) '지양'과 '지향' 구분하기 (0) | 2024.10.22 |
(맞춤법 2탄) 되와 돼 구분하기 (0) | 2024.10.22 |
(맞춤법 1탄) '때'와 '떼' 구분하기 (1)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