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건 경위>

  • 날짜 =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7분경
  • 위치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 원인 = 부실공사, 불법 구조변경
  • 결과 = 건물의 전체적 붕괴(사망자 502명(남 106명, 여 396명, 사망 확인 472명, 사망 인정 30명), 부상자 937명, 실종 6명)

 

<사건 정리>

 이 사건은 1995년 6월 29일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삼풍백화점이 붕괴한 사건입니다.

 

 

 

<사건 원인>

  • 부지 용도 = 삼풍아파트가 완공된 후, 남은 땅에 상가나 다른 건물을 짓고자 공사를 하였지만 주거용 부지였기 때문에 무허가 공사로 제재를 받았다. 하지만, 삼풍그룹은 서초구청 공무원들에게 뇌물을 준 뒤 불법적으로 용도를 변경하였다.
  • 내부 구조 임의 변경 = 최초 삼풍아파트 대단지의 종합상가인 '삼풍랜드'로 설계(지하 4층, 지상 4층)되었지만, 완공될 때쯤 당시 삼풍건설산업의 회장 이준이 당시 시공사인 우성건설에게 백화점으로 변경해 달라고 요구함. 건물 붕괴를 우려한 우성건설 측이 이를 거부하자, 이준 회장은 계약을 파기하고 당시 삼풍건설산업에 변경을 지시, 공사 강행됨.
  • 넓은 매장공간 확보를 위한 벽을 제거함 -> 기둥에 무게가 집중됨
  • 에스컬레이터를 만들기 위해 각층에 구멍을 뚫어 그 크기만큼 콘크리트가 사라짐 -> 기둥에 무게가 추가됨
  • 철근 변경 = 바닥과 기둥을 연결하기 위해 'L'자형 철근을 사용해야 하는데, 삼풍은 비용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자형 철근 사용 -> 바닥과 기둥을 연결할 수 없게 되어 기둥이 바닥을 뚫고 나오는 일이 발생. 건물이 붕괴될 때 아무런 제동장치 없이 순식간에 무너진 이유가 이것임!!
  • 5층 불법 확장 = 4층까지만 설계되었던 것을 우성건설과의 계약 파기 이후에 5층으로 확장 변경함. 5층을 롤러스케이트장으로 계획했지만 식당가로 불법 변경하여서 배수로, 온돌, 돌 정원, 대형 냉장고 등 하중이 증가됨.
  • 냉각탑 = 본래 지하에 설치하려 했지만 지하공간 확보를 이유로 옥상에 설치됨(건물 전체에 진동이 울림). 최초 북관 동쪽 삼풍아파트 7동 방향으로 설치가 되었는데 거리가 30m도 안되어 이로 인한 소음으로 주민들의 불만이 제기됨. 그래서 북관 서쪽 우면로 방향으로 옮기기로 했는데, 크레인으로 들어서 옮기여야 하는데 비용절감을 위해 굴림대에 싣고 이동함. 이 과정에서 바닥이 깨지기 시작함.

 

<사건 결과>

  • 오후 5시 57분, 5층 바닥의 가장 약한 기둥 2개가 무너지며, 그 기중이 옥상까지 끌어당기면서 건물 붕괴는 시작됨.
  • 5층의 잔해와 콘크리트가 무너져내리며 아래층을 차례대로 무너뜨리기 시작했고, 약 20초 만에 건물은 지하 4층까지 완전하게 매몰되었으며, 안에 있던 1,500여 명의 사람들은 잔해 속에 묻히게 됨.
  • 붕괴 직후 태풍 같은 바람이 10여 초간 휘몰아 가까운 타 지역으로 날아감.
  • 전 삼풍건설산업 회장 이준에게는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적용하여 징역 7년 6개월 선고 -> 출소 후 서울 신당동 자택에서 살다가 지병이 악화되어 2003년 10월 4일 81세로 별세
  • 뇌물을 받고 설계변경 등을 승인해 준 전 서초구청장 이충우(징역 10개월에 추징금 300만 원), 황철민(징역 10개월에 추징금 200만 원)에게 뇌물수수죄 적용.
  • 2심에서 징역 7년형을 받은 전 삼풍백화점 대표이사 이한상 등 12명은 상고를 포기하여 실형이 선고됨 -> 출소 후 삼풍아파트의 자택에서 살다가 2004년 몽골로 건너가 몽골 선교사가 됨.
반응형
반응형

 

 

 

<사건 경위>

  • 날짜 = 1970년 4월 8일
  • 위치 = 서울시 마포구 창전동
  • 원인 = 부실공사
  • 결과 = 건물의 완전 붕괴(사망자 34명, 부상자 40명)

 

 

 

<사건 정리>

 이 사건은 1970년 4월 8일 서울시 마포구 창전동 산 1번지에 위치한 와우지구 시민아파트의 한 동(5층)이 부실공사로 무너진 사건입니다.

 

 

 

 

<사건 원인>

  • 서울시가 와우산 일대에 건설한 시민아파트로써 무면허 건설업자는 가파른 산 중턱에 아파트를 지었는데 그 이유는 김현옥 서울시장이 자신의 업적을 대통령(당시 박정희 대통령)에게 일부러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 건설 허가를 따내기 위해 뇌물로 인해 공사자재를 아낌(철근 70개를 넣어야 할 기둥에 5개만 넣음)
  • 공사기간이 단 6개월 만에 준공
  • 건물 하중 초과 및 콘크리트 배합 비율 엉망
  • 암반이 아닌 부토 위에 기둥을 2m 세움. 결국 해빙기인 4월에 지층이 내려앉아 건물이 무너짐

 

 

<사건 결과>

  • 1970년 4월 8일 오전 6시 40분경 아파트 한 동이 무너져 사망 33명, 부상 38명 인명피해 발생
  • 또한 무너진 아파트 잔해로 인해 아래에 있던 판잣집을 덮쳐 사망 1명, 부상 2명 인명피해 발생 
  • 당시 서울시장 김현옥 퇴출, 관련자 구속
  • 이전 지어진 시민아파트의 안전도 점검실시(총 405동 중 349동 보수대상)
  • 현재 와우아파트 철거되었으며, 철거 부지는 녹지 공간 와우공원으로 조성됨

 

 

 

반응형
반응형

 

사회적 거리두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처)

 

 

 Ansys에서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 및 차단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고객 또는 파트너와의 협업 및 추가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다른 사람과의 거리가 1m인 경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처)

 

 

 

다른 사람과의 거리가 2m인 경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쳐)

 

바이러스 입자는 공기 중으로 빠르게 퍼집니다. 다른 사람과의 거리가 1m인 경우, 기침으로 인해 나온 바이러스 입자는 상대방의 얼굴과 목, 옷으로 퍼집니다.거리가 2m 정도 떨어져 있는 경우는 중력이 입자를 바닥 쪽으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동 시 거리 유지하기

 

두 사람이 나란히 달리는 경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쳐)
두 사람이 앞뒤로 달리는 경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쳐)
두 사람이 대각선으로 달리는 경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쳐)

 

 야외 운동 시 어느 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할까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앞에서 달리고 있거나, 사이클을 타고 있는 사람으로부터의 바이러스 입자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조깅할 땐 옆에서 뛰거나, 뒤쪽에서 뛰어야 할 경우엔 대각선으로 뛰거나 혹은 충분히 멀리 떨어져서 뛰어야 한다.

 

마스크 착용하기

 

마스크 정확히 착용하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쳐)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바이러스 전염 위험을 최대 6배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노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같이 마스크가 얼굴을 완전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마스크 올바른 방법으로 착용하기(출처=Ansys 홈페이지 캡쳐)

 

 마스크를 올바른 방법으로 오랜 시간 착용하면 다소 불편할 수 있지만,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효과를 제대로 얻을 수 있습니다.

 

(출처 = Ansys 홈페이지)

반응형
반응형

 

인천시(시장 박남춘)가 "영종~신도 평화도로 건설사업" 본격 착수를 위한

관계부처(기재부, 행안부)와 총사업비(1,249억 원) 협의를 완료하고,

공기 단축 등을 위해 설계, 시공 일괄방식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4월 중으로 입찰공고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인천시청 홈페이지

행정안전부의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19.1월) "서해 남북평화 연도교 구축"

1단계 구간인 영종~신도 평화도로가 작년 1월 국비지원 재정사업으로 변경되었고,

2019년도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계획에 따라 예타 면제 대상사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동안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지난 2월 28일

국비 정액 지원 사업 추진을 최종 협의 완료하였으며,

총 사업비 1,249억 원(국비 764, 시비 485)으로 확정 지었다고 밝혔습니다.

인천시는 "영종~신도"(L=3.82km, 왕복 2차로) 평화도로를 설계, 시공 일괄 방식으로 시행하여

최대 약 1년의 공기를 단축할 계획으로 금년 하반기까지(11~12월) 시공사를 선정하여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사를 착공하여 2025년 12월까지

차질 없이 공사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최태안 도시재생 건설국장은 "영종~신도 평화도로는 영종~강화~개성, 해주를 잇는

남북평화도로 1단계 선도사업"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인천과 북한 간 물류 이동의 시작점이 될 전망이고

옹진군 북도면 2천여 명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 해결로

이동권 보장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2단계 신도~강화(L=11.1km) 구간도 국토교통부 국가도로망 계획에

반영하여 국가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인천시청 홈페이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