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지털 유산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온라인 계정을 사용합니다. SNS, 이메일, 클라우드 저장소, 인터넷 뱅킹, 심지어 암호화폐 지갑까지. 그런데 우리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이 디지털 자산은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 혹시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디지털 유산(Digital Legacy)에 대해 알아보고, 온라인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디지털 유산이란?

디지털 유산은 사망한 개인이 남긴 모든 온라인 기록과 자산을 뜻합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됩니다:

  • 📧 이메일 계정 (Gmail, Naver, Daum 등)
  • 📱 SNS 계정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 💾 클라우드 저장소 (Google Drive, Dropbox 등)
  • 💰 암호화폐 지갑, 온라인 뱅킹 계좌
  • 📸 사진, 영상, 블로그, 유튜브 등 콘텐츠



왜 디지털 유산 관리가 중요한가?

  • 🔐 개인정보 보호: 해킹·사칭 위험 방지
  • 🧾 법적 분쟁 예방: 재산으로서 상속 가치
  • 💬 가족 간 소통: 추억 자료를 보존하거나 삭제

디지털 자산은 금전적 가치뿐 아니라 감정적, 문화적 가치도 크기 때문에 생전에 미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지털 유산 관리 방법

1. 계정 목록 작성

자신이 보유한 온라인 계정, 이메일, 금융 플랫폼, SNS 등을 종이 또는 암호화된 파일로 정리해 두세요. 서비스 이름, 아이디, 복구 방법만 적어도 충분합니다.


2. 비밀번호 관리 서비스 활용

1Password, Bitwarden, LastPass와 같은 비밀번호 관리자 앱을 활용하면 가족이나 지정한 사람에게 사후 전달이 용이합니다.


3. 사후 계정 설정하기

  • 📘 페이스북: 추모 계정 지정 가능
  • 📷 인스타그램: 유족 요청 시 비공개 또는 삭제
  • 📨 구글: ‘Inactive Account Manager’ 기능으로 신뢰할 사람 지정



디지털 유산, 상속이 가능한가?

국내에서는 2024년 기준, 암호화폐·온라인 금융자산은 상속세 부과 대상입니다. 그러나 SNS, 이메일 등 비금전적 계정의 경우 상속권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재한 상태입니다. 일부 유족들은 정보 공개나 삭제를 두고 법적 다툼을 겪는 사례도 존재합니다.




디지털 유언장 쓰기

최근에는 디지털 유산을 위한 온라인 유언장 작성 서비스도 생겨났습니다. 비밀번호, 계정 관리, 삭제 요청 등을 지정된 이메일 수신자에게 사후 전달하는 형태입니다. 예: GoodTrust, SafeBeyond, AfterNote




맺으며

온라인에 남은 나의 흔적은 사라지지 않는 유산입니다. 사랑하는 가족이 내 계정을 대신 정리해야 할 수도 있고, 디지털 자산이 중요한 재산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작은 정리와 기록을 통해 내 온라인 세계를 안전하게 관리해 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반응형

사이버 보안 기본 가이드

 

디지털 세상에서는 클릭 한 번으로 금융 정보, 연락처, 사진 등 소중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2025년 현재, 랜섬웨어·피싱·SNS 해킹 등 사이버 범죄는 더 정교하고 은밀해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 사용자도 꼭 알아야 할 기본적인 사이버 보안 수칙을 정리합니다.




1.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과 주기적 변경

‘1234’, ‘password’, ‘qwer1234’는 해커들이 가장 먼저 시도하는 조합입니다. 문자+숫자+특수문자 조합(10자 이상)을 사용하고, 사이트별로 다른 비밀번호를 설정하세요. 비밀번호 관리 앱(예: LastPass, Bitwarden)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이중 인증(2FA)은 필수

아이디·비밀번호 외에 휴대폰 인증 코드, OTP, 인증 앱을 추가하면 해커가 로그인 정보를 알아도 접근이 어렵습니다. SNS, 이메일, 금융 앱에는 반드시 이중 인증을 활성화하세요.




3. 수상한 링크, 이메일 클릭 금지

피싱 이메일, 가짜 이벤트 링크, 택배 사칭 문자 등 클릭 한 번으로 악성코드가 설치되거나 계정 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출처를 모르는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4. 공공 와이파이 사용 시 VPN 사용

무료 와이파이에서는 해커가 트래픽을 쉽게 감청할 수 있습니다. VPN(가상사설망)을 이용하면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카페·공항 등에서는 민감한 사이트(은행, 쇼핑몰 등) 접속은 피하세요.




5. 백신 프로그램 & 보안 업데이트

윈도우, 스마트폰, 브라우저의 보안 패치를 무시하지 마세요. 최신 버전 유지는 해킹의 주요 경로를 차단하는 첫걸음입니다. 또한 백신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정기 검사를 설정하세요.




6. 개인정보 과다 공유 금지

SNS에 생일, 집 주소, 학교, 전화번호 등을 무심코 공개하면 해킹, 스미싱, 사칭 범죄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로필 공개 범위를 친구만 보기 또는 제한 설정으로 조정하세요.




7. 정기적인 계정 보안 점검

  • 🔒 구글 보안 진단(Google Security Checkup)
  • 🧠 내 정보 유출 여부 확인 사이트 (예: haveibeenpwned.com)
  • 🔁 자주 사용하지 않는 계정은 삭제 또는 비활성화



보너스: 보안에 강한 습관 만들기

  • 📵 공유PC에서는 로그인 후 반드시 로그아웃
  • 🧾 결제 시 저장된 카드 정보 자동 입력 비활성화
  • 📱 앱 설치 시 권한 요청 꼼꼼히 확인



맺으며

사이버 범죄는 눈에 보이지 않기에, 더더욱 방심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보안 습관만 잘 지켜도 대부분의 위협은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부터라도 내 계정과 개인정보를 지키는 작은 실천을 시작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보이스피싱이란? 수법과 예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최근 몇 년간 급증하고 있는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은 단순한 범죄를 넘어 사회 전반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금융사기 수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보이스피싱의 정의와 대표적인 수법, 피해 사례, 그리고 예방 방법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보이스피싱이란?

보이스피싱은 전화(Voice)와 개인정보 낚시(Phishing)의 합성어로, 범죄자가 전화를 통해 공공기관, 금융기관, 가족 또는 지인을 사칭하고 피해자의 개인정보 또는 금전을 탈취하는 사기 범죄입니다.

 

 

 

보이스피싱의 주요 수법

2025년 기준, 보이스피싱 수법은 점점 더 정교하고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1. 기관 사칭형

  • 검찰, 경찰, 금감원 등을 사칭하며 범죄 연루 또는 계좌 동결을 이유로 송금 요구
  • 가짜 공문, 위조된 발신번호로 신뢰 유도

2. 대출 사기형

  • 저금리 대출 조건을 제시하며 수수료 또는 기존 대출 상환을 요구
  • 대출 승인 문자 유도 → 앱 설치 → 개인정보 탈취

3. 가족/지인 사칭형

  • 자녀나 지인으로 위장한 메신저 피싱(문자, 카카오톡 등)
  • 폰 고장, 급한 송금 요청 등으로 심리적 압박 유도

4. 환급금 유도형

  • 세금 환급, 건강보험 환급 등을 빌미로 계좌번호·인증서 요구
  • 정부기관 로고 도용한 가짜 문자나 링크 활용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

  • 사례 1: “금융감독원입니다. 계좌가 범죄에 이용되고 있어 보호 계좌로 이체하셔야 합니다.” → 2천만 원 송금 피해
  • 사례 2: 자녀가 카카오톡으로 “폰 고장 났어, 급히 돈 보내줘.” → 부모가 300만 원 송금
  • 사례 3: 세금 환급 안내 문자 클릭 → 가짜 앱 설치 후 보안카드 탈취

 

 

보이스피싱 예방법

아래의 실천만으로도 상당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공공기관은 절대 전화로 계좌이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모르는 번호, 낯선 링크는 열지 않고 무시하세요.
  • 문자나 메신저로 송금 요청이 올 경우, 반드시 본인에게 전화로 확인하세요.
  • 앱 설치 요구는 100% 사기로 의심하고, 절대 설치하지 마세요.
  • 보이스피싱이 의심될 경우, 즉시 112 또는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

 

 

피해 발생 시 대처법

  • 즉시 해당 금융기관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계좌 지급정지 요청
  •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센터(https://ecrm.police.go.kr)
반응형

+ Recent posts